파이썬의 리스트
파이썬에서 리스트(list)
는 순서가 있으며 변경 가능한 항목들의 모음입니다.
리스트는 데이터 분석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자료 구조 중 하나입니다.
리스트 만들기
리스트를 만들려면 대괄호 []
를 사용하고 항목을 쉼표로 구분합니다.
리스트 만들기
과일 = ["사과", "바나나", "체리"]
이 리스트에는 항목이 3개 있습니다. 리스트는 동적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으며, 언제든지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에는 숫자, 문자열, 심지어 다른 리스트까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 항목 접근
파이썬의 리스트는 0부터 시작하는 인덱스(Zero-indexed)를 사용합니다.
즉, 첫 번째 항목의 인덱스는 0
, 두 번째 항목의 인덱스는 1
, 그 이후로 계속... 입니다.
또한 음수 인덱싱으로 끝에서부터 접근할 수도 있습니다.
-1
은 마지막 항목-2
는 끝에서 두 번째 항목
아래 코드 블록에서 실제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코드 예제
리스트 항목을 활용하는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리스트 항목 접근
# 도시 리스트 만들기
도시들 = ["서울", "부산", "인천", "대구"]
# 첫 번째 항목에 접근
print("첫 번째 도시:", 도시들[0]) # 서울
# 세 번째 항목에 접근
print("세 번째 도시:", 도시들[2]) # 인천
# 음수 인덱스로 마지막 항목에 접근
print("마지막 도시:", 도시들[-1]) # 대구
# 끝에서 두 번째 항목에 접근
print("끝에서 두 번째 도시:", 도시들[-2]) # 인천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코드프렌즈 PLUS 멤버십 가입 or 강의를 등록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