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실습하기

함수 인수와 반환값

일반적으로 함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값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입력을 인수(arguments)라고 합니다.


1. 위치 인수 (Positional Arguments)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 함수가 기대하는 순서대로 값을 전달합니다.

위치 인수
def multiply(x, y):
print('곱:', x * y)

multiply(2, 4)
  • x에는 2, y에는 4가 들어갑니다.
  • 출력 결과는 곱: 8입니다.

단순히 함수 내에서 값을 출력하는 대신, return 키워드로 값을 돌려줄 수 있습니다.

반환값
def multiply(x, y):
return x * y

result = multiply(2, 4)
print("결과:", result)
  • 함수는 곱을 계산해서 값을 반환합니다.
  • 반환값을 변수에 저장해 나중에 출력합니다.

2. 키워드 인수 (Keyword Arguments)

이름을 통해 값을 전달할 수도 있어 더 유연합니다.

키워드 인수
def introduce(name, age):
print(name, "은(는)", age, "살입니다.")

introduce(age=12, name="민수")
  • 이름을 사용하면 순서를 지킬 필요가 없습니다.
  • 가독성이 좋아지고 실수를 줄여줍니다.

3. 기본값 (Default Values)

함수 정의에서 기본값을 설정해 인수를 선택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기본값
def greet(name="친구"):
print("안녕,", name)

greet()
greet("지수")
  • 첫 번째 호출은 기본값("친구")을 사용합니다.
  • 두 번째 호출은 "지수"로 기본값을 덮어씁니다.

요약

개념설명
위치 인수순서대로 전달; 예: 함수(2, 3)
키워드 인수이름으로 전달; 예: 함수(x=2, y=3)
기본 인수함수 정의에서 선택적 값 설정
return호출자에게 값을 돌려줌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코드프렌즈 PLUS 멤버십 가입 or 강의를 등록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