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대형 차트와 원형 차트 만들기
모든 데이터를 선 그래프로 표현할 필요는 없습니다.
범주별 크기를 비교하거나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보여줄 때는 막대형 차트(bar chart)
와 원형 차트(pie chart)
가 더 효과적입니다.
이번 수업에서는 두 차트를 모두 살펴보겠습니다.
막대형 차트
plt.bar()
는 범주별 값을 비교하는 데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상품별 판매량이나 지역별 사용자 수 같은 데이터를 시각화할 때 유용합니다.
기본 막대형 차트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categories = ["서울", "부산", "대구"]
values = [10, 25, 15]
plt.bar(categories, values)
plt.title("지역별 비교")
plt.xlabel("지역")
plt.ylabel("값")
plt.show()
plt.bar()
는 세로 막대형 차트를 그리며, 가로 막대형 차트를 원한다면 plt.barh()
를 사용하면 됩니다.
원형 차트
전체에서 각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을 시각화하려면 plt.pie()
를 사용합니다.
시장 점유율, 예산 배분, 월간 지출 비율처럼 비율 중심 데이터에 적합합니다.
기본 원형 차트
labels = ["월세", "식비", "교통비"]
sizes = [40, 35, 25]
plt.pie(sizes, labels=labels)
plt.title("월간 지출 구성")
plt.show()
원형 차트는 정확한 수치보다는 비율을 강조할 때 가장 효과적이며, 데이터 항목 수가 너무 많을 경우에는 시각적 복잡성이 커질 수 있으므로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코드프렌즈 PLUS 멤버십 가입 or 강의를 등록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