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에게 일을 시키는 방법
컴퓨터에게 간단한 연산과 결과 값을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화면에 값 출력하기
const a = 1;
const b = 2;
const c = 3;
console.log((a + c) * b);
여기서
console.log는 화면에 값을 출력하는 함수로, 괄호 안에 전달된 값을 화면에 표시합니다.
const는 프로그램 실행 중 변하지 않는 상수(Constant) 값을 정의하는 키워드로 const a = 1는 상수 a에 값을 1로 할당하는 것을 뜻합니다.
여기서 키워드는 JavaScript가 미리 사용한 특별한 의미를 갖는 단어로 사용자가 코딩할 때 사용할 수 없는 단어를 뜻하며, =는 상수에 값을 할당하는 연산자입니다.
= 의 의미
프로그래밍에서 = 연산자는 수학 시간에 배운 같다라는 뜻이 아닌,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할당하다라는 뜻으로 사용합니다.
마찬가지로 상수 b에는 2를, 상수 c에는 3을 할당합니다.
곱셉 연산자 *의 의미
(a + c) * b에서 별표(*)는 곱셈 연산을 의미합니다.
참고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나눗셈 연산은 슬래시(
/)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a와 c를 더한 (a + c)의 값을 b와 곱한 결과, 즉 4 * 2 = 8이 console.log에 전달됩니다.
출력하기
console.log는 괄호(()) 안에 전달된 값을 출력하는 함수로, console.log가 없다면 (a + c) * b의 연산 결과가 화면에 출력되지 않습니다.
정말 간 단하죠?
이렇게 JavaScript로 컴퓨터에게 간단한 연산과 출력 작업을 시켜보았습니다!
다음 수업에서는 자바스크립트 코드에 간단한 메모를 남기는 주석(Commen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코드프렌즈 PLUS 멤버십 가입 or 강의를 등록해 주세요!